12
2016-Feb
뉴런모델링 인공지능작성자: Blonix IP ADRESS: *.148.87.98 조회 수: 728
출처:
http://www.joysf.com/?_filter=search&mid=forum_sf&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B%89%B4%EB%9F%B0&document_srl=4593578
http://nengo.ca/build-a-brain/spaunvideos/
여러분이 지금부터 보시게 될 영상은 캐나다 연구진이 만든 가상 뇌 시뮬레이션,
SPAUN(Semantic Pointer Architecture Unified Network)이 연구진의 지시에 따라 간단한 과제를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SPAUN은 가상뉴런 250만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글자나 숫자를 쓰기 위한 가상의 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과제는 사전 프로그래밍 없이 진행됩니다.
과제 0. 그림 따라그리기
화면에 나타나는 그림을 따라 그려보아요
http://youtu.be/WNnMhF7rnYo
과제 1. 숫자 인식
화면에 나타난 그림이 무슨 숫자인지 알아맞춰 보아요
(참고로 SPAUN은 숫자 인식에서 94%의 정확도를 보입니다. 인간의 경우에는 정확도가 98%라고 하는군요)
http://youtu.be/f6Ul5TYK5-o
과제 2. 강화학습
0, 1, 2 숫자 중 아무거나 적으세요
단, '좋은' 숫자를 쓰면 상(상을 받으면 화면에 숫자 1이 나타나며, 상을 받지 못하면 숫자 0이 나타남)을 받을 확률이 72%이고,
'나쁜' 숫자를 쓰면 상을 받을 확률이 12%에요.
(동영상 초반에는 2가 '좋은' 숫자였다가 맨 마지막에는 1로 바뀝니다. 뇌 시뮬레이션의 선택도 그에 따라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ttp://youtu.be/vuGDYajWyhU
과제 3. 순차작업기억
화면에 나타나는 일련의 숫자들을 따라 써보아요
(동영상 마지막에 보시면 SPAUN이 중간숫자 8을 잊어먹어서 숫자 8 대신 ---를 긋습니다. 참으로 인간적이군요? -_-)a
http://youtu.be/mP7DX6x9PX8
과제 5. 질문에 답하기
지금부터 일련의 숫자 5개를 보여줄 꺼예요. 그 중에 숫자 5는 몇 번째 자리에 있나요?
(답은 0, 즉 없습니다)
http://youtu.be/pPPXncTBv4o
과제 6. 변수생성
다음의 예제들을 보고 ?에 들어갈 알맞은 숫자를 찾아보아요
0094 -> 94
0014 -> 14
0024 -> 24
0074 -> ?
(답: 74)
http://youtu.be/tPRbphzQ-T8
과제 7. 유동지능
다음의 예제들을 보고 ?에 무슨 숫자가 올지 알아맞춰 보아요
1 -> 11 -> 111
4 -> 44 -> 444
5 -> 55 -> ?
(답: 555)
http://youtu.be/qcZe-2eWaeM
보너스 과제
우와! 연구진께서 좀 더 복잡한 팔을 달아주셨어요! 이 팔을 가지고 일련의 숫자를 따라 써보아요!
http://youtu.be/FEEEoodC6Xc
...
http://models.nengo.ca/spaun에 들어가시면 SPAUN 모델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필요조건이 있습니다.
1. 시뮬레이션을 잘 돌리려면 최소 24GB RAM이 필요함
2. 시뮬레이션에서의 1초는 쿼드코어 2.5 GHz를 3시간 돌린 것과 맞먹음
=========================================
말 그대로 뉴런 250만개를 시뮬레이트 한 다음 그것만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겁니다. 따라서 SPAUN은 250만개의 신경세포(=뉴런)을 가진 대뇌 에뮬레이터가 되겠습니다(혹은 아예 뇌라는 하드웨어를 구현해 굴리는 것이니 버추얼 머신이라 해야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각 말풍선은 입력, 인식, 이해, 수행, 인출 등등을 보이고 있으며 문제 입력은 자연어가 아니라 SPAUN이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로 넣어지는 것 같네요.
개별 테스트는 설명 그대로 숫자인식, (합리적)보상선택, 순차작업 기억, 숫자 세기, 질문을 이해하고 그에 정답 또는 오답을 하기, 규칙성 파악하기 등의 테스트로 이루어 집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I.Q테스트 시험지를 보시면 이해가 좀 쉬우실 텐데, SPAUN이 행한 일련의 테스트들은 I.Q 시험문제 중 가장 쉬운 형식입니다.
마지막은 경우는 더 복잡한 구조(=근육)을 가진 손을 달아 주어 그걸 잘 컨트롤 할 수 있는 지 보는 것 같습니다.
이 테스트의 의의는 저 일련의 행위들이 캄퓨터의 연산장치가 아닌 순수하게, 시뮬레이트 된 250만 개의 뉴런 모델로 행해졌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팔을 달아 준 이유는 생물학적으로 볼 때 뇌의 연산 중 매우 많은 부분을 신체가 수행하기 때문에 일부러 달아준 것으로 보입니다(가령 인간은 단순 암산일 경우 손가락을 사용하면 뇌의 부하를 한층 덜어낼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