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랜 설정, 고정IP 설정 등은 다른 게시글에 소개되어 있다.
0. 기본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종종 해주면 보안상 도움이 된다.
sudo apt-get install ssh vim zip
많이 쓰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준다.
sudo raspi-config
NOOB을 이용해 OS를 설치했을 경우 안해도 된다.
다만 바로 라즈비안을 설치했을 경우 이 메뉴에서 Expand Filesystem 을 활성화해준다.
안그러면 SD카드의 용량에 관계없이 2Gb 밖에 못쓴다. 나머지 메뉴들을 살펴보자면
Expand Filesystem : SD 카드의 전체용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Change User Password : ‘pi’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Enable Boot to Desktop/Scratch : 부팅시 명령어 환경이 아닌 GUI Windows 환경으로 시작됩니다.Internationalisation Options : 언어, 키보드, Timezone 등을 설정합니다.Enable Camera : Raspberry Pi 전용 카메라를 사용할수 있도록 합니다.Add to Rastrack : rastrack 서버에 사용중인 Raspberry Pi를 등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서버에 등록된 Raspberry Pi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Over Clock : 700MHz 이상의 CPU Clock 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Advanced Options : Hostname 변경, SSH on/off, SPI on/off, Audio HDMI/3.5mm jack 등을 설정합니다.
1. VNC server 설치 및 부팅시 자동실행 설정 -> 대신 SSH설정하고 윈도우에 putty 깔아도 됨
(인터넷에 찾아보고 알아서 한다. 쉽다.)
2. 절전모드 해제 - 서버용으로 사용할 경우 지혼자 절전으로 바꾸면서 서버 내리는 수가 있다.
(무선 랜카드 칩셋의 종류에 따라 절전모드가 없을수도 있다)
| cat /sys/module/8192cu/parameters/rtw_power_mgnt |
0 나오면 해제고, 1 나오면 최소절전모드, 2 나오면 최대절전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거다.
| sudo vi /etc/modprobe.d/8192cu.conf |
vi 든 nano 든 맘에 드는걸로 위 파일을 연다.
| # rtw_power_mgnt={0|1|2} # 0 = disable Power Save Mode # 1 = enable Power Save, MIN_PS Mode # 2 = enable Power Save, MAX_PS Mode # rtw_enusbss={0|1} # 0 = disable auto suspend # 1 = enable auto suspend options 8192cu rtw_power_mgnt=0 rtw_enusbss=0 |
주석은 안 써도 된다.
rtw_enusbss 설정은 0 일경우 무선인터넷 자동 중단모드 해제, 1은 중단모드다.
3. 시간 설정, 한글 설치
설정 안해두면 영국시간으로 돌아간다. 서버를 구축한 경우 좀 이상하겠지.
설정법은 다른 문서중에 우분투 웹서버 구축 부분을 보면 있다. 귀찮아서 안옮긴다.
한글폰트는 ttf-unfonts-core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한글 키보드 설정은 아직 나도 안해서 모르겠다 구글에 쳐보자.
4. 사용자계정 변경 및 관리자권한 설정
사용자 계정간의 전환은
sudo su - 계정명
치면 되고, 사용자 계정에서 루트계정으로의 전환은 해당 계정 상태에서
sudo su
치면 된다.
출처 : http://dovetail.tistory.com/11
root 계정 활성화 하기
기본적으로 root 계정이 비활성화 되어있으므로 이를 활성화한다.
sudo passwd root
이 후 화면에서 암호를 입력한다.